이혼과 재혼/마19:6 인간의 타락 이후에 이간은 '육체'가 되었다. 그것은 인간이 유한한 생명을 지니게 되었으며, 그 행위들이 매우 육적이라는 사실을 암시한다. 이러한 인간의 죄악성은 특별히 성적인 무분별에서 두드러졌다. 무분별한 성행위는 가족과 사회의 질서를 파괴시켰으며, 도덕적 타락을 심화시.. 신앙과 삶· 2017.05.17
현대 속의 문화/롬12:2 현대 사회는 다변화하고 있다. 현대에 이르는 모든 기존의 가치와 사고방식을 탈피하고자 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을 비롯하여 '다양성 속의 일치'를 주장하며 모든 종교의 동등성을 가르치는 종교다윈주의와 뉴에이지운동 등은 현대적 사고의 대표적인 것들이다. 이 사상들은 기존의 사고.. 신앙과 삶· 2017.05.17
포스트모던 문화란?/요8:32 현대에 들어서면서 새롭게 대두된 사상과 문화가 있다. 그것은 급속도로 많은 지식인들과 여러 분야에 침투되었고, 이제는 그것에 대하여 언급할 줄 모르는 사람들은 시대에 뒤떨어진 사람으로 취급될 정도이다. 그것은 바로 포스트모더니즘이다. 포스트모던(post-modern)이란 '현대 이후' .. 신앙과 삶· 2017.05.17
타종교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행4:12 포스트모더니즘과 종교다윈주의의 등장으로 기독교는 심한 타격을 입었다. 그러나 기독교가 이러한 신학적 변화를 계속해서 정죄할 수만은 없다. 우리는 이럴수록 기독교의 종교적 유일성과 더불어 타종교를 수용할 수 있는 이중적 부담을 책임으로 통감해야 한다. 타락한 인간들에게.. 신앙과 삶· 2017.05.17
대중매체에 침투된 뉴에이지/딛1:16 불교와 힌두교의 윤회사상, 초월사상, 영성주의 등 다양한 정신을 바탕으로 삼고 최면술과 정신 치료법을 사용하여 허무와 좌절에 빠진 현대인에게 새로운 희망을 주려는 유사종교 운동을 새시대(New Age)운동이라 일컫는다. 이 운동은 조직체나 지도자가 없으며 다양한 사상적 문화를 구.. 신앙과 삶· 2017.05.17
유니섹스모드는 잘못된것인가?/신22:5 사회의 흐름과 유행은 폭넓은 사회사상의 인식에 의하여 제대로 이해될 수 있다. 그것은 짧거나 혹은 매우 긴 기간을 통하여 사회의 변화를 유도하지만, 인간 사회에서 벌어지는 현상들은 복잡한 인간 심리의 변화에 기인하기 때문에 우리는 유니섹스 모드에 대하여도 매우 통전적인 인.. 신앙과 삶· 2017.05.17
음주와 흡연은 죄인가?/고전10:31 성경은 그리스도인의 신앙과 생활의 유일한 지침이 된다. 하나님의 자녀들이 하나님의 뜻에 맞게 삶을 영위하도록 지도해 준다. 그런데 성경은 모든 문제들에 대하여 세세한 지침을 내려주고 있지는 않다. 성경이 분명하게 권장하고 금지하는 내용에 있어서는 문제가 없으나 구체적으로.. 신앙과 삶· 2017.05.17
음악감상과 춤/시150:4 노래와 춤은 사람의 감정을 드러내는 행동으로서 인류 최초 문화 현상들에 속하며, 특히 현대에 이르러 사회 생활에 필수적인 오락의 위치까지 오르게 되었다. 구약성서의 기록은 춤과 노래가 하나님에 대한 찬양과 경배를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증언하고 있다. 구약의 성도들은 .. 신앙과 삶· 2017.05.17
기독교인과 국가/롬13:1,2 대체적으로 한국에서 기독교인의 현실 참여는 정통 교단들에서 외면당하였다. 이에 소수의 현실주의자들에 의하여 기독교의 현실 참여가 유지되어 왔다. 보수적인 신앙인들은 개인 구원의 우선성을 이야기하고, 극단적인 참여주의자들은 사회 구원의 우선성을 성토하였다. 그러나 사회.. 신앙과 삶· 2017.05.17
기독학생의 현실참여/마5:14 한국의 개신교는 오래 전부터 개인 구원을 강조하는 보수진영과 사회구원을 강조하는 진보진영으로 나뉘어 대립해 왔다. 최근에 들어와서는 교회뿐 아니라 선교단체들도 이러한 2개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사회구원을 강조하는 부류도 다양하여 온건한 개혁과 참여를 주장하는가 하면, .. 신앙과 삶· 2017.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