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세부터 현대의 윤리/막10:18 르네상스(문예부흥)로 인해 개인주의와 함께 인간의 가치관이 새롭게 정립되기 시작했다. 그 결과 개인의 윤리뿐만 아니라 예술·사상·문학·건축 등 다방면에서 인간성의 회복과 가치를 찾게 되었다. 가장 일반적인 관심은 하나님 중심에서 인간 중심의 사고로 전환되었다는 것이다. .. 기독윤리· 2017.05.16
중세의 윤리/골2;8 군사적으로 강한 게르만족이 문화적 수준이 더 높은 로마를 완전 점령하였으나 정치적으로 통치하지 못한 가운데 유럽은 전반적으로 국왕의 세력이 약화되고 교회의 역할이 증대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을 이어받은 안셀무스가 인간의 죄를 하나님의 은총으로 사함받는 구원이 .. 기독윤리· 2017.05.16
고대의 윤리/요1:14 우리 나라가 고조선이후 삼한시대와 삼국 시대를 거쳐 통일신라가 한반도를 통치하고 이후 후삼국시대가 형성되기 이전까지 기간 동안,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철학자들이 일어나 사람이 살아가는 목표와 방법론에 관한 윤리사상을 펼치고 있었다. 우주는 상반세력간의 투쟁으로 발.. 기독윤리· 2017.05.16
역사적으로 본 윤리/마5:48 윤리는 도덕적 내면 상태와 법률적 외면 행동의 판단 기준이 되는 규범(normn, 規範)에 관하여 한 특정인 또는 어떤 부류의 계층이 가지고 있는 가치의식이나 철학적 사고방식을 말한다. 이는 윤리의 주체가 체험한 문화적 배경에 따라 습속(習俗)이 형성되는 과정과 마찬가지로 무의식적.. 기독윤리· 2017.05.16
신학에서의 윤리/ 약1;22 인간은 자기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사회의 한 일원으로서 태어난다. 이 사회는 일정한 생활 방식과 규범과 윤리를 가지고 있다. 이중 윤리는 규범과는 달리 인간의 행위에 관한 것으로 인간 관계에 있어서 이법(異法)이라 할 수 있다. 반면 기독교 윤리는 세상 조류에 흘러가는 일반 윤리.. 기독윤리· 2017.05.14
신학과 철학과의 관계속에 윤리학 / 골1:17 인간에 대한 학문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에서도 윤리학은 다른 학문과 사상 속에 포함되어 있다가 19세기에 와서 본격적으로 대두하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윤리학은 다른 학문과의 관계 속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발전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철학과 윤리학의 상호 관계.. 기독윤리· 2017.05.14
윤리란 무엇인가?/ 얼의 개념[고전15:33] 인간의 바른 행위의 표준을 윤리규범 또는 도덕률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윤리(倫理) 그 자체는 선하거나 의로운 것이 아니라, 선하려 한다거나 의로워지고자 하는 의식을 가지고 있는 인간으로서의 도리(人倫道理)인 것이다. 그러므로 윤리학은 이론적 도덕철학과 실천적 도덕론을 포괄.. 기독윤리· 2017.05.14
윤리의 정의/신학과의 관계 [암5:14]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가정과 사회의 일원(一員)이 된다. 스스로에게 좋은 것은 물론이고 남을 위하여 뭔가 좋은 일을 하고 싶어하고 혹남에게 괴로움을 주었을 때에는 자신도 고통을 느낀다. 그것을 보통 마음속에 자리잡은 양심의 소리라고 말한다. 양심의 소리를 외면하는 사람은 도.. 기독윤리· 2017.05.14
기독교윤리 / 개관의 서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는 급격한 가치관의 변화 및 사고의 혼돈, 사상의 변천들로 인하여 극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그 변화나 혼돈, 변천 등은 우리가 설정하고 추구해 왔던 이념과 삶의 방향이 가치가 전도되어 재검토하고 수정해야 하는 위기를 맞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 기독윤리· 2017.05.14